경구용 혈당강하제

당뇨약 종류는? 병원서 처방받고 약국서 구매? 뭘 먹어야 하나?

포미아빠 2020. 9. 11. 10:11

당뇨약이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모르겠다. 다들 그런 심정이겠지.. 내가 만약에 당뇨 판정을 받는다면 당뇨약을 먹어야 된다.. 아마도 병원에서 의사선생님이 처방을 써주고 약국에서 당뇨 약을 받아서 먹게 되겠지..

그래도 내가 평생 먹을 거라면 좀 알고 먹는 것이 어떨까?

오늘부터는 경구용 약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러 제약사의 당뇨 약들이 있고 서로 작용하는 범위나 대상이 틀리다.

과연 어떤 약이 나에게 좋은 약일까?

오늘은 많은 당뇨 약을 어떻게 분리하는지와 많은 당뇨 약을 다 다룰 수는 없으니 우선 환우들이 많이 먹고 있는 메트포르민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다른 당뇨 약들도 다음 포스트에서 하나 하나 알아보기로 하자.

계열로 말하면 크게 7종 정도가 되고 어떻게 작용하느냐 하로 나뉘면 크게 3가지라고 할 수 있다.

작용 약 이름 계열
인슐린 분비를 촉진 다오닐, 유글르콘, 디아미크롱, 디베린 다이그린, 글리피짓, 글루레노름, 아마릴, 파스틱, 노보넘, 글루패스트, 지누비아, 가브스

#설폰요소제
#메글리티나이드계
#DPP4억제제

인슐린 작용을 촉진 다이아벡스(메트포르민), 액토스,
아반디아(사용중지)

#바이구아나이드계
#티아졸리딘디온계

당의 흡수 저해 글루코바이, 베이슨  

당뇨 약이 너무 많다. 당뇨 약에 대해서 전문적인 이야기는 알지도 못하고 할 수도 없으니 도대체 어떤 것을 먹는 것이 좋을지 경험에 비추어 이야기해보겠다.

표로 정리해 놓은 수많은 당뇨 약 중 우리나라에서는 메트포르민(많은 약 브랜드에서 생산)을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뭘 먹어야 하나요?

병원마다 의사선생님들마다 가지고 있는 신념에 따라 당뇨 약을 처방하겠지만 환우들 입장에서는 내 몸에 최대한 부작용이 없는 당뇨 약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당뇨 약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부작용이 제일 작은 당뇨 약을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수치가 좋아져도 당뇨 약의 부작용으로 내 몸이 망가진다면 인생 최대의 악수가 되는 것이다.

췌장

가장 중요한 것이 당뇨 약을 오래 복용을 해도 우리 몸의 췌장이 최대한 버틸 수 있게 해주는 당뇨 약을 먹어야 한다.

당뇨는 완치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병이다. 수십 년 동안 당뇨에 노출이 되면 여러 합병증으로 고생하게 되고 췌장의 기능도 상실하게 된다. 쉽게 말해서 자기의 췌장이 100년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 것이라면 100년을 사용하거나 90년 정도는 사용할 수 있는 당뇨 약을 먹자는 말이다. 최대한 우리 췌장을 보호하면서 약을 복용하고 당 수치를 낮추면 성공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당뇨 약의 선택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당뇨 약이야 의사선생님이 처방해 주지만 될 수 있으면 췌장에 무리가 가지 않는 당뇨 약을 부탁해 보자..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상기 표에 표시된 당뇨 약들이 개발되었다. 이유야 많지만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당뇨 약은 아무래도 췌장이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당뇨 약들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하게 알아보자.

오늘은 위에서 언급한 메트포르민(metformin)을 간단하게 살펴보자. 바이구아니드계(biguanides)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이다. 혈당 개선 효과가 있으나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는 증거가 아직 제한적이다. 작용 기전의 하나로 간에서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를 활성화함으로써 포도당신생합성을 막고, 세포에 포도당이 흡수되는 것을 촉진하고, 대사증후군을 억제한다. 2형 당뇨병 치료에 1차 약물로 사용되며, 특히 정상 신기능을 가지는 과체중 혹은 비만 환자에게 사용된다. 메트포르민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치료에도 사용되며 다른 적응증도 연구중이다. 메트포르민은 간에서 포도당의 생성을 억제한다. 바이구아니드계 약물은 1920년대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나 인슐린때문에 관심이 줄었다가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하지만 임신한 여성에게는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고있다.오래된 약이고 현대에 와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만 부작용도 있고, 요즘 회사에 따라 발암물질 NDMA 검출되어 회사를 잘 선택해서 구매하여야 된다. 메트포르민 성분 - 1(다음 포스트에서 계속)

식약청은 메트포르민 NDMA 초과 검출이 확인된 22개사 31개 완제의약품에 대해 잠정 제조중지 및 판매중지 조치하였다.(첨부자료확인 필수)

의약품 안전성 속보(메트포르민).pdf
0.19MB